안드로이드에서 DB를 사용하려면 바로 접근할 수 없고, 웹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. 나는 웹서버는 톰캣(jsp로), DB는 오라클을 사용하였다. 코드는 구글링을 통해서 구할 수 있었고, 적용하는데 오라클과 서버를 연동하는 부분에서 자꾸 에러가 떠서 오라클을 재설치 하는데 시간이 좀 걸린것 빼고는 어렵지 않게 연동할 수 있었다. 단순히 연동만 한 상태이므로 이제 이 코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. 1. Manifest.xml에 인터넷 권한 추가 안에 다음 코드를 추가해준다. 2. 안드로이드 AsynkTask클래스 AsynkTask는 자바에서 쓰레드와 같다. → 자바에서 쓰레드 사용 이유 AsynkTask클래스는 메인 스레드 이외에 작업 처리를 하는 별도의 스레드를..